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대체할 수 있는 금융인증서나,공동인증서들이 많이 나와있습니다.

그동안 사용해왔던 공인인증서 대신 어떤 인증서를 골라서 사용해야 하는지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원래 공인인증서는 주민등록이나 인감 등을 대신하여 인터넷 상에서 본인의 신원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종의 증명서 였습니다. 이중 카카오 공동인증서는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 이라는 강력한 수단이 있어

발급 받기도 편하고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톡을 바탕으로 카카오 공동인증서 설치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1.준비물-본인 명의 스마트폰

           -카카오톡앱

           -본인 명의 은행계좌

2.이미 '카카오톡'앱을 사용하고 계시면 앱을 열거나

사용하고 계시지 않다면 플레이스토어에서 '카카오톡'앱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3.'카카오톡 앱'을 눌러서 실행시킵니다.

4.첫 화면 맨 아래 오른쪽에 ... 점 3개를 누릅니다.

5.화면 맨 위, 오른쪽에 '서비스'를 누릅니다.

6.화면을 위로 올리면 중간에 전자문서 카테고리에 '인증'을 누릅니다.

7.'인증서 발급하기'가 보이면 누릅니다.

 

8.약관 전체동의를 합니다.

9.이름과,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휴대폰 인증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합니다.

10.계좌 본인 확인 -인증은행을 선택하고,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계좌 확인 요청을 누릅니다.

-휴대폰 본인인증을 받은 실명과 계좌에 등록된 실명이 일치해야 계좌등록이 가능합니다.

-은행별 서버 점검시간에는 계좌 확인이 불가합니다.

-평생계좌번호, 가상계좌,증권, 펀드, 적금, 정기예금 등의 계좌 연결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11.본인 계좌 확인을 위해 1원을 보내드렸어요 메시지가 보입니다.

입력한 계좌의거래내역을 확인하여 카카오가 입금한 1원의 입금자명 4글자를 확인 후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12인증서 비밀번호 8~15자리를 등록합니다.

13.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페이에서 인증서가 발급되었다는 톡이 옵니다. 

주요 사용처

업비트, 한국토지주택공사,현대해상, 병무청, 교보생명,KB증권, 서울시설공단, 기업은행,수협, SC제일은행, 우리카드, 금융보안원, 현대HCN, 한국교통안전공단, KB국민카드, 한화생명, 롯데손해, 서울특별시 등 

-인증 서비스 이용연령 확대 안내

카카오페이 인증 서비스 이용연령이 만 15세 미만에서 2018년.1.11부터 만 14세 미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인증서 신청자가 만 14세 미만인 경우 인증서 신청 및 발급이 제한됩니다.

주의사항

-보안을 위해서 1인당 하나의 계정에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인증서를 발급 하신 후,해외에 체류하시는 경우에는

인증 톡 메세지를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개별 인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국내 통신사에 정상적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국내 은행에 본인 명의의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외국인이라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휴대폰 전화번호 변경 시 기존 인증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증서를 새로 발급 받으신 후 이용해주세요.

(단 ios 환경에서 전화번호만 변경된 경우라면 톡 계정 로그인 후 이전 인증서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의 유효기간 연장은 만료일 30일 이전부터 인증 서비스 내 혹은 만료 알림 메세지를 통해 연장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발급 및 갱신일로부터 2년 입니다.